뉴질랜드 이민 썸네일형 리스트형 뉴질랜드 생활 : 집에서 할 수 있는 부업, 유료 온라인 서베이 뉴질랜드는 2021년 8월 중순, 갑작스러운 커뮤니티 델타바이러스 발생으로 락다운을 시작했다. 다른 지역은 점차 규제가 완화됐지만 오클랜드는 8월 중순부터 지금까지 봉쇄되어 있고 필수직업군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아니면 오클랜드를 벗어 날 수 없다. 오늘은 집에서 적은 돈을 벌 수 있는 간단한 온라인 서베이를 추천하려고 한다. 아래 소개되는 온라인 서베이로 거액을 벌어들이거나 벼락부자가 될 수는 없음을 미리 고지하는 바이다. 오피니언월드는 설문조사에 답변을 하면 일정 포인트를 적립해 주는 사이트다. 내 프로필을 완성하면 그에 맞춰서 서베이를 추천해주는데 하나를 완성할때마다 적게는 10포인트에서 많게는 150포인트까지 적립된다. 모든 서베이는 영어로 제공되므로 영어로 읽고, 생각하고, 답변 할 수 있어야한다... 더보기 뉴질랜드 핸드폰 요금제 : 나에게 맞는 요금제는? 저렴한 회사 찾기 한국에서는 휴대폰 할부금과 핸드폰 이용요금으로 매달 약 10만원을 지출했다. 핸드폰 요금은 당연히 그만큼 나오는 줄 알았고 여기에 소액결제(라고 쓰고 늘 거액을 지불하게 되는)까지 포함하면 20만원 이상 청구되는 달도 많았다. 뉴질랜드로 이민하면서 핸드폰 요금은 절반이하로 줄었는데,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라, 요즘은 더 싼 요금제를 찾아 헤매이고 있다. 요금제는 1)선납요금제(Prepaid, 프리페이드)와 2)월납요금제(Monthly Pay, 먼쓸리페이)가 있다. 선납은 주기적으로 통신사 어플이나 편의점, 온라인 홈페이지 등에서 요금을 납부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다. 월납은 정기적으로 내가 선택한 결제수단에서 요금이 빠져나가며 후불이다.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적게는 1.75%에서 많게는 3%에 .. 더보기 10만불 모으기 프로젝트 : 현재 나의 재무상태 분석, 계획 세우기 2021년 6월, 회사를 퇴직하고 정기적인 소득원이 사라졌다. 먹고싶은게 있으면 먹었지만 사고싶은 물건을 마음대로 산 적은 없는데 이유모르게 통장이 텅텅 비어있었고 약 3개월동안 소득이 없는 상황에 처하다 보니 절로 회의감이 들었다. 뉴질랜드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생활은 시작한지 3년 가까이 되었는데 왜 나는 여전히 가난한가? 돈을 버는데 돈이 없다. 학생때 주당 20시간을 일하면서 살 때보다 풀타임 직장인이 더 가난한 말도 안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접근성이 좋은 유투브를 시작으로 여러 블로그를 돌아 본 결과, 나는 돈을 물처럼 쓰고 있었다. 버스가 다니는 시간인데도 피곤하니까 우버를 타고, 퇴근 후에 기분을 내려고 그닥 끌리지도 않는 맥주를 마시고, 밥 하기 귀찮으니 주 5-6회 외식을 하고. 돈.. 더보기 이전 1 다음